국민연금 인상안이 국회 합의로 통과
납부금액 9% -> 13%(단계적 인상)
수령액 소득대체율->43%로 인상
그에 따라 인상되는 납부금액과 연금수령액 계산
국민연금공단에서 제공하는 예상연금 간단계산기
이 페이지에서는 월 납입 보험료를 입력하여 가입 기간별(10년~40년) 예상 연금 수령액을 간편하게 확인
📱 모바일 이용자 안내:
모바일 기기에서는 아래 링크를 통해 모바일 최적화된 간단계산기
또한, '내 곁에 국민연금' 앱을 통해 보다 상세한 예상 연금액 조회와 다양한 연금 관련 서비스를 이용.
📊 세대별 국민연금 보험료율 인상 계획 및 월 보험료 변화 (월급 300만 원 기준)
50대 (1966~1975년생) | 연 1%p씩 인상 | 2026~2029년 | 13% | 390,000원 |
40대 (1976~1985년생) | 연 0.5%p씩 인상 | 2026~2033년 | 13% | 390,000원 |
30대 (1986~1995년생) | 연 0.33%p씩 인상 | 2026~2036년 | 13% | 390,000원 |
20대 (1996~2007년생) | 연 0.25%p씩 인상 | 2026~2041년 | 13% | 390,000원 |
- 현재 보험료율 9% 기준 월 보험료는 270,000원입니다.
- 최종 보험료율 13% 적용 시 월 보험료는 390,000원으로 증가합니다.
- 보험료율 인상은 세대별로 차등 적용되며, 최종적으로 2041년까지 모든 세대가 13%에 도달하게 됩니다.한겨레+1YouTube+1
💰 예상 연금 수령액 변화 (40년 가입 기준, 월급 300만 원 기준)
9% (현행) | 약 1,120,000원 |
13% (인상 후) | 약 1,300,000원 |
- 보험료율 인상과 함께 소득대체율이 42%로 상향 조정될 예정입니다.
- 이에 따라 연금 수령액도 증가하게 됩니다.
📌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안: 월급 300만 원 기준
현재 국민연금 보험료율은 9%이며, 이 중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4.5%씩 부담합니다.
최근 여야가 합의한 개혁안에 따르면 보험료율을 13%로 인상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습니다. 이에 따라 월급 300만 원 수령자의 경우:치매뉴스+1조선일보+1
- 현재 보험료: 27만 원 (본인 부담 13.5만 원)
- 인상 후 보험료: 39만 원 (본인 부담 19.5만 원)
- 월 추가 부담액: 6만 원
이는 연간으로는 72만 원의 추가 부담이 발생하는 셈입니다. [SBS Biz] 의견 있는 경제채널
📈 예상 연금 수령액 변화
보험료율 인상과 함께 소득대체율을 43%로 상향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습니다. 이를 반영하면, 월급 300만 원 수령자가 40년간 국민연금을 납부했을 경우:치매뉴스
- 현재 예상 월 수령액: 약 112만 원
- 개혁안 적용 시 예상 월 수령액: 약 121만 원
- 월 수령액 증가분: 약 9만 원치매뉴스
이는 연간으로는 약 108만 원의 수령액 증가에 해당합니다.
🧮 실질 가치 고려 시 연금 수령액
임금 상승률(연 3.77%)을 고려하여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, 30세(1995년생)가 65세에 받을 연금은:SBS 뉴스+4경향신문+4여성경제+4
- 명목 수령액: 약 304만 원
- 현재 가치로 환산한 수령액: 약 80만 원
이는 현재 1인 최소 노후생활비인 136만 원의 약 59% 수준에 불과합니다. 경향신문+2매일경제+2여성경제+2
💡 연금 수령액을 높이기 위한 전략
연금 수령액을 높이기 위해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연금 수령 연기: 연금 수령 시기를 최대 5년까지 연기하면, 연기 기간에 따라 연 7.2%씩 연금액이 증가하여 최대 36%까지 수령액을 늘릴 수 있습니다. 한국전기유지보수협회+3이모작+3연합뉴스+3
- 임의계속가입 활용: 60세 이후에도 보험료를 납부하면 연금 수령액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.경향신문+2핀다포스트|Findapost+2이모작+2
- 추납 제도 활용: 과거 납부하지 못한 기간의 보험료를 추가로 납부하여 가입 기간을 늘릴 수 있습니다.핀다포스트|Findapost
📊 요약
월 보험료 | 27만 원 | 39만 원 |
월 수령액 | 약 112만 원 | 약 121만 원 |
현재 가치 수령액 | 약 80만 원 | 약 86만 원 |
월 추가 부담액 |
|
6만 원 |
월 수령액 증가분 |
|
9만 원 |
국민연금만으로는 노후 생활비를 충분히 충당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, 개인연금이나 퇴직연금 등 추가적인 노후 대비 수단을 함께 고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.
**국민연금 미리미리 확인하시고 노후 대비에 참고하세요~