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"미, 중 관세 전쟁의 KEY로 떠오른 희토류"
👉 속보: NYT - 중국, 희토류 수출 중단

"희토류(稀土類, Rare Earth Elements, REEs)"는
오늘날 첨단 산업의 비타민이라 불릴 정도로 매우 중요한 자원
✅ 희토류란?
구분설명
정의 | 주기율표 상 란타넘족 15개 원소 + 스칸듐, 이트륨을 포함한 총 17개 원소를 말함 |
특징 | 지구상에 널리 분포하지만, 경제적으로 채굴할 만한 농도로는 드물게 존재함 |
성질 | 자성, 전기전도성, 형광성 등 고유한 물리·화학적 특성 보유 |
🔋 희토류 사용처
분야사용 예시
첨단 전자기기 | 스마트폰, 노트북, 카메라, 디스플레이, 광학렌즈 등 |
자동차 | 전기차 모터, 배터리, 연료전지, 촉매변환기 등 |
군수산업 | 스텔스기, 유도미사일, 야간 투시경 등 |
재생에너지 | 풍력 발전기(강력한 자석), 고효율 LED 조명 등 |
🌍 왜 중요한가?
이유설명
첨단산업 필수 소재 | 없어도 되지만, 없으면 성능이 확 떨어짐 (비타민처럼) |
중국의 독점적 지위 | 전 세계 희토류 **생산의 60~80%**를 중국이 담당 |
지정학적 무기화 | 중국은 때때로 수출을 무기로 활용 (예: 일본/미국과 무역갈등 시 수출 제한) |
🧪 희토류 원소 예시
원소명주요 용도
네오디뮴(Neodymium) | 강력한 영구자석 (전기차, 풍력터빈) |
디스프로슘(Dysprosium) | 자석의 내열성 강화 |
유로퓸(Europium) | TV 화면의 붉은색 형광체 |
이트륨(Yttrium) | 레이저, 세라믹, 초전도체 |
희토류 원소 주기율표 57번부터 71번까지는
바로 **란타넘족(Lanthanides)**에 해당합니다.
여기에 **스칸듐(21번), 이트륨(39번)**까지 더해
총 희토류 17원소가 됩니다.
🧪 주기율표 번호 기준: 희토류 17 원소 정리
주기율표 번호원소 기호원소 이름
21 | Sc | 스칸듐 (Scandium) |
39 | Y | 이트륨 (Yttrium) |
57 | La | 란타넘 (Lanthanum) |
58 | Ce | 세륨 (Cerium) |
59 | Pr | 프라세오디뮴 (Praseodymium) |
60 | Nd | 네오디뮴 (Neodymium) |
61 | Pm | 프로메튬 (Promethium) |
62 | Sm | 사마륨 (Samarium) |
63 | Eu | 유로퓸 (Europium) |
64 | Gd | 가돌리늄 (Gadolinium) |
65 | Tb | 터븀 (Terbium) |
66 | Dy | 디스프로슘 (Dysprosium) |
67 | Ho | 홀뮴 (Holmium) |
68 | Er | 어븀 (Erbium) |
69 | Tm | 툴륨 (Thulium) |
70 | Yb | 이터븀 (Ytterbium) |
71 | Lu | 루테튬 (Lutetium) |
✅ 주요 특징
- 57~71번: 란타넘족 (Lanthanides) → 희토류의 중심
- 21, 39번: 스칸듐, 이트륨 → 물리적·화학적 특성 유사해 포함
- 대부분 은백색 금속이며, 자성·형광·촉매 성질로 쓰임
- 네오디뮴, 디스프로슘 등은 전기차 자석의 핵심
⚠️ 문제점
- 환경오염: 채굴·정제 과정에서 폐수, 방사성 폐기물 발생
- 공급 불안정성: 특정 국가 의존도가 매우 높아 경제 안보 위협
- 재활용 어려움: 희토류는 극소량씩 복잡하게 분산돼 있어 회수 난이도 높음
📌 요약 한 줄
희토류는 전기차, 스마트폰, 풍력발전 등 미래산업에 꼭 필요한 자원이지만,
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커서 지정학적 리스크가 큽니다.
반응형